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swift] 함수에서 매개변수 지정, 전달인자 레이블, 가변 매개변수, 데이터 타입으로서의 함수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swift에서 사용되는 함수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개변수 기본 값 매개변수 기본 값은 함수의 매개변수에 값이 들어오지 않아도 자동으로 매개변수 값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매개변수 기본값은 매개변수 목록 중에서 맨 뒤쪽에 위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개변수 기본 값이 존재하는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의 형태에서 매개변수 2는 기본 값이 지정된 매개변수로 등호를 통해 매개변수 기본 값을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func 함수이름(매개변수1 이름: 매개변수1 타입, 매개변수2 이름: 매개변수2 타입 = 매개변수 기본값 ...) -> 반환타입 { 함수 구현부 return 반환값 } 매개변수 기본 값이 존재하는 예시는.. 더보기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이란 무엇인지, 호스트(엔드시스템), 통신링크, 패킷, IPS와 ISO, 인터넷의 역사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이란 무엇인지와 호스트(엔드시스템), 통신링크, 패킷, IPS와 ISO, 인터넷의 역사,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이란 무엇일까? 인터넷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건 inter + network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오픈된 형태를 inter라고 합니다. 따라서 inter network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오픈된 형태의 네트워크를 뜻하게 되겠죠. inter network에서 유래하여 하나의 고유명사화 된 internet이라는 단어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inter와 반대로 intra network도 존재하는데, in.. 더보기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기술 분류 체계와 딥러닝이 주목받게 된 계기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공지능의 기술 분류 체계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고 딥러닝이 어떻게 세상의 주목을 받게 되었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공지능의 기술 분류 체계 대상을 인식할 때 사용되는 여러 가지 인공지능 기술 방법이 존재하는데 그 방법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기 전에 먼저 대상패턴이 인식되는 순서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처음에 대상패턴인 2차원 영상신호나 1차원 시계열신호(시간의 움직임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센싱인터페이스를 거치게 됩니다. 센싱인터페이스는 센서에서 받은 신호에서 정보를 찾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에 들어온 데이터들에 전처리가 이루어진 다음 특징 추출/선택이 일어나게 됩니다. .. 더보기
[인공지능] 강인공지능과 약인공지능, 인공지능 기술의 방법론적 분류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강인공지능과 약인공지능, 인공지능 기술의 방법론적 분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인공지능과 약인공지능 인공지능은 크게 강인공지능과 약인공지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강인공지능(Strong AI)은 인간의 지능을 구현하는 기술 혹은 학문으로 영화 아이언맨에 나오는 자비스가 해당 예시에 들어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화 아이언맨 속 자비스는 지능을 가지고 사람처럼 생각할 수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강인공지능은 사람처럼 보일 정도로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드는 기술이라고 여길 수 있겠습니다. 반면에 약인공지능(Weak AI)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특정한 문제를 푸는 기술 또는 학문입니다. 강인공지능처럼 사람과 유사하게 행동할.. 더보기
[swift] 함수 선언 형태, 함수 호출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함수와 여러 가지 함수표현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는 특정한 행동을 실행해 주는 코드라고 할 수 있는데, 특정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목적에 맞게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먼저 swift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함수 선언 형태와 함수 호출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함수선언의 기본형태 함수의 기본적인 형태는 매개변수와 매개변수 타입, 그리고 반환타입을 가지고 선언됩니다. 여기서 매개변수란 함수에 들어가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함수이름 뒤 소괄호 안에 매개변수와 매개변수타입을 차례로 선언해 주고 소괄호를 닫아줍니다. 화살표 뒤에 함수에서 구현이 일어난 후 반환되는 반환값.. 더보기
[인공지능] 4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의 특징, 핵심기술분야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최근 들어 챗GP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챗 GPT의 핵심기술인 AI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공부를 꾸준히 하기 위해 인공지능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기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4차 산업혁명과 핵심 기술 분야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란?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 낸 혁명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또한, 다보스포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과 바이오산업, 물리학 등의 경계를 융합하는 기술 혁명이라고 정의되기도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은 말 그대로 4번째로 일어난 산업혁명이라고 생각할 수도 .. 더보기
[swift] Set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오늘은 swift에 나오는 Set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et Set은 Array와 달리 순서가 없이 값들이 집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중복되는 멤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Set은 Array, Dictionary와 다르게 축약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Array, Dictionary 처럼 표현형이 다양하지 않습니다. Set을 선언, 생성하는 표현은 아래와 같습니다. var makeSet : Set = Set() Set에서 insert를 사용하여 새로운 멤버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Set은 중복되는 멤버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똑같은 값을 여러 번 넣어줘도 하나의 멤버로 들어가게 됩니다. makeSet.insert(13) makeSet.in.. 더보기
[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 (IU,OU,CPU,ALU,CU,Register)에 대하여/ 논리 게이트(NOT, AND, OR)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오늘은 컴퓨터 구조 (Computer Architecture)와 논리회로 게이트(NOT, AND, OR)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Computer Architecture 먼저 컴퓨터 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구조는 크게 입력 장치(Input Unit) 와 출력 장치(Output Unit),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or Unit)로 나눌 수 있습니다. CPU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 사이인 가운데에 존재합니다. 또한, CPU 안에는 ALU, CU, Register가 들어있습니다. ALU는 Arithmetic and Logical Unit으로 산술논치장치라고 부르는데, 말 그대로 산술연산과 논리연산해 주는 장치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