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멀티미디어 시스템] lossy algorithm, lossless algorithm, entropy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ata compression의 종류인 lossy algorithm과 lossless algorithm에 관한 내용과 entropy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ata compression 현재는 네트워크 속도가 빨라졌고 메모리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90년대에 비해 데이터 압축의 요구성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데이터 압축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압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크기는 보통 텍스트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디지털 시그널이 왜 잡음에 강인한 지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지털 시그널이 왜 잡음에 강인 한 지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아날로그 시그널에 비해 디지털 시그널의 장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여러 가지 장점 중 딱 하나만 뽑으라면 노이즈에 강인하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장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노이즈에 강인하는 것은 또 다른 말로 high quality of signal processing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몇 가지 장점이 존재하는데, 그 장점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더 정확한 이해를 위해 디지털 시그널이 왜 잡음에 강인한지 알아보기 이전에 먼저 analog transmission(아날로그 전송)과 digital transmis..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시그널의 quality가 저하되는 요인과 digital 신호의 특징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hase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하고, 시그널의 quality가 저하되는 요인과 digital 신호의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phase phase는 위상이란 뜻으로,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반복되는 파형의 한 주기에서 첫 시작점의 각도 혹은 어느 한순간의 위치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보통 사인함수와 코사인 함수가 π/2 만큼 차이가 난다고 할 때 그 π/2를 위상차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에서 phase는 time delay에 해당이 됩니다. digital binary 디지털은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고 아날로그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바이너리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하는데, 예를 들어 binar..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주파수에 따른 sampling period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미디어 종류에 따른 필요한 최소 비트 수와 주파수와 sampling period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quantization error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했었는데, 비트 수를 늘려서 더 촘촘하게 숫자를 지정할 수 있게 되면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대신 처리해야 할 데이터가 늘어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1950년대 학자들이 몇 비트일 때, quantization error를 줄이고 신호 quality를 높이고 data processing도 크게 부담이 되지 않는지 반복적인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사람의 아날로그 음성은 디지털로 표현할 때 약 8bit정도면 만..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멀티미디어는 기본적으로 디지털 프로세싱입니다. 반면에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natural signal들 예를 들어, 오디오, speech, 영상들은 전부 다 아날로그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싱을 하려면 아날로그 시그널을 디지털 시그널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크게 두 단계를 거칩니다. 1. sampling 2. quantization 이렇게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frequency와 tone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requency와 tone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requency 1초동안 같은 패턴이 몇번 반복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이 frequency입니다. 사인 함수나 코사인 함수가 이에 해당됩니다. 주기 (T)는 1/f와 같습니다. 두 그림 모두 x축을 시간 t(단위 : sec)에 따라 그려진 그래프입니다. 첫번째 그림 같은 경우 1초 동안 사인파가 한번 반복되기 때문에 1Hz이고, 두번째 그림은 1초에 파형이 다섯번 반복되기 때문에 5Hz입니다. 주파수가 낮다, 높다라는 말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일단 외형적인 모습을 보면, 왼쪽 그림은 x축이 t이기 때문에 시간에 대해서 파형을 그린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시그널을 그림을..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아날로그와 디지털 시그널의 특성, 아날로그 시그널과 특징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그널의 특성, 아날로그 시그널, 아날로그 신호의 특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시그널의 특성 아날로그 시그널은 시간에 대해서 연속적인 파형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합니다. 시간에 대해서 연속적이기 때문에 아날로그 시그널을 영어로 continuous-time signal이라고 부릅니다. 아날로그 시그널을 수학적으로 표기할 때 x(t), y(t)과 같은 기호를 사용합니다. 반면에 디지털 시그널은 앞에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해서 얻은 시그널입니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간격마다 위의 아날로그 시그널을 샘플링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시그널이 얻어지는데, 이 시그널의 y축을 x [n]이라고 표현합니다..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시그널(signal), Information to signal transformation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멀티미디어 또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싱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인 지식들이 존재합니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싱에 대해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에, 멀티미디어 프로세싱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적인 지식들을 먼저 학습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그널(signal)과 Information to signal transformation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ignal information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정보를 처리한다 하는 개념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information을 signal로 변환한 후에 처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반면에 signal은 아주 구체적으로 존재하는데, 정보를 전류나 전압 같은 전적인 파형으로 구체적으로 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