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운영체제] 레지스터, 메인 메모리, 캐시, 보조기억장치, 명령어의 구조와 실행과정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지스터, 메인 메모리, 캐시, 보조기억장치, 명령어의 구조와 실행과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모리 계층 구조에 따르면, 아래층에서부터 보조기억장치, 메인 메모리, 캐시, 레지스터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메모리 계층 구조의 위에서 아래 순서로 하나씩 살펴보도로 하겠습니다.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프로세서 내부에 존재하며, 프로세서가 사용할 데이터를 보관하는 가장 빠른 메모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인 메모리 메인 메모리는 프로세서 외부에 존재하며 프로세서에서 수행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에서 처리한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메인 메모리를 주기억장치 또는 1차 기억장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메인 메.. 더보기
[인공지능] 인공지능과 관련된 4차 산업혁명의 특성과 인공지능 전망, 인공지능이 실제 산업에서 활용된 사례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4차 산업혁명의 특성과 인공지능 전망, 인공지능이 실제 산업에서 활용된 사례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특성과 인공지능 초연결상태 :IOT와 관련이 있음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등 정보 통신 기술(ict)의 급전적인 발전과 확산으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연결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까지 인터넷 플랫폼 가입자가 30억 명에 이르렀고 500억 개의 스마트 디바이스 상호 간 네트워킹이 강화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된 사물의 수가 2015년 182억 개에서 2020년 501억 개로 증가하였습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의 연계 및 융합으로부터 기술 및 산업구조의 초지.. 더보기
[인공지능]딥러닝의 정의와 구조, 역사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딥러닝의 정의와 구조, 역사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딥러닝의 정의 딥러닝을 간략하게 정의하자면 머신 러닝 알고리즘 중 심층 인공 신경망을 활용한 것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층이라는 단어 때문에 deep이라는 단어가 들어가게 된 것입니다. 처음 인공신경망을 구상했을 당시, 사람을 모델로 두고 뇌세포를 관찰한 후, 뉴런에 해당되는 노드들을 만들어놓고 선으로 연결해서 뉴런과 비슷한 형태의 인공 신경망을 모델링하였습니다. 실제 사람의 뇌에는 엄청나게 많은 뉴런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뉴런들 사이에 연결이 전부 이루어진다면 기하급수적으로 연결된 선이 많을 것입니다. 실제로 하나의 네트워크가 완성된다는 것은 각각의 연결된 연결선들에 .. 더보기
[운영체제]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과 레지스터의 종류, 메모리 계층 구조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과 레지스터의 종류, 메모리 계층 구조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물리적인 기계장치인 하드웨어와 어떤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인 소프트웨어로 구성됩니다. 또한 컴퓨터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로 구성되고, 이들은 시스템 버스로 연결됩니다. 먼저 중앙처리장치(cpu)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 중 운영체제와 가장 밀접한 부분으로, 컴퓨터의 모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중앙처리장치는 프로세서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프로세서의 레지스터를 용도와 사용자가 정보 변경 .. 더보기
[컴퓨터 네트워크]분산시스템과 분산시스템의 종류,client-server 시스템에서 server와 client, cloud computing, addressing processes,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특성,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들의 예시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분산시스템과 분산시스템의 종류, client-server 시스템에서 server와 client, cloud computing, addressing processes,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특성,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들의 예시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산시스템이란 하나의 컴퓨터에서 처리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나눠서 하겠다는 것이 분산 시스템입니다. 시스템이란 것은 어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이 협력해서 일을 효율적으로 해내는 체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경우, user interface 파트, data 저장하는 파트, 데이터 처리하는 파트 세가지 파트로 나뉩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의 경우, ..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멀티미디어의 특성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미디어의 특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학자들이 정리해 놓은 멀티미디어의 특성에는 media integrity(미디어 통합성), duplex communication(양방향 통신),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디지털 정보 처리), media interaction(미디어 상호작용), 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 massive storage device (대용량 저장 장치) 가 있다고 언급했었습니다. 각각의 특성에 대해 더 자세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edia integrity 멀티미디어의 정의에 따라 두개 이상의 멀티미디어가 결합된 것이기 때문에 media..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멀티미디어의 정의, 멀티미디어 기술의 역사, 멀티미디어 특성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미디어의 정의, 멀티미디어 기술의 역사, 멀티미디어 특성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멀티미디어란? 멀티미디어 라는 용어는 1966년 Bob Goldstein에 의해서 음악과 조, 영상 그리고 퍼포먼스 아트들이 복합된 공연이라는 의미로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93년도에 Tay Vaughan이라는 사람이 최초로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멀티미디어의 개념을 정립했습니다. Tay Vaughan는 멀티미디어가 컴퓨터에 의해서 만들어진 소리,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들의 복합 정보라고 정의했습니다. 근대에 우리가 사용하는 Multimedia 라는 것은 multi와 media가 결합한 단어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미디어.. 더보기
[멀티미디어 시스템] 멀티미디어 표준과 표준화 과정, 표준화 기구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멀티미디어 표준과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표준화 기구들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ultimedia Standards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라는 국제 표준기구에서 표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했습니다. 표준은 어떤 매체들이나 생산품, 생산 공정 절차들이 그들의 목적에 사용되기 위해서(일관되게 사용되기 위해서) 기술적인 사양을 포함한 합의된 문서라고 정의했습니다. 표준에는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합니다. De jure와 De facto라는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하는데, 먼저 De jure는 법적인 기준을 의미하며, 모든 제품들은 법적으로 De jure 기준에 따라 만들어져야 합니다. I..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