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교 수업/전공 수업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이란 무엇인지, 호스트(엔드시스템), 통신링크, 패킷, IPS와 ISO, 인터넷의 역사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부하는 레오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이란 무엇인지와 호스트(엔드시스템), 통신링크, 패킷, IPS와 ISO, 인터넷의 역사,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이란 무엇일까?



인터넷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건 inter + network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오픈된 형태를 inter라고 합니다. 따라서 inter network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오픈된 형태의 네트워크를 뜻하게 되겠죠. inter network에서 유래하여 하나의 고유명사화 된 internet이라는 단어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습니다.
inter와 반대로 intra network도 존재하는데, intra network는 폐쇄적인 하나의 네트워크를 가리키고 이것을 내부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인터넷을 nuts and bolts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여기서 nuts and bolts 관점이란, 아무리 복잡한 것도 전부 다 풀면 마지막에 볼트와 너트만 남는다는 의미로 가장 기본적인 관점을 말합니다.)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용어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호스트(엔드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종적으로 인터넷이 연결되었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를 보내고 받고자 하는 시스템이 달려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호스트 또는 엔드 시스템(종단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네트워크의 끝에 달려있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기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같은 경우가 호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통신링크란 통신 위성이 두 지점을 연결해 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정보 전송 경로라고 정의됩니다. 또한, 통신 링크는 두 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통신링크는 선의 유무에 따라 유선 링크(파)와 무선 링크(파)로 나뉘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유선 링크의 경우 대표적으로 광섬유, 구리선을 예시로 들 수 있고 라디오, 위성 등이 무선 링크의 예시에 해당됩니다. 또한, 전송률과 대역폭이라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전송률은 정보 1초당의 데이터량인데, 대역폭은 초당 전송될 수 있는 최대량입니다.
네트워크는 도로에 비유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로 대역폭은 도로의 너비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도로가 넓을수록 많은 차량이 이동할 수 있듯이, 대역폭이 넓을수록 많은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습니다. 대역폭에 대한 정의는 나중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패킷, 라우터, 스위치


엔드시스템(호스트)끼리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의 사이즈가 (예시로 100mb, 10mb…) 다 다를 수 있습니다. 택배를 예로 들어 생각한다면 택배 크기가 다른 것이죠. 근데 인터넷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쪼개서 같은 크기로 만든 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러한 작은 단위를 패킷이라고 합니다.
인터넷 안에는 호스트만 있는 것이 아니라 통신을 도와주는 또 다른 디바이스가 존재합니다. 도로로 예시를 들어보면 신호체계가 존재할 때 도로에서 신호등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을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라고 부릅니다. 즉, 라우터는 통신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외부적으로 연결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때 내부적으로 연결을 도와주는 것을 스위치라고 하고 외부로 나갈 때 연결을 도와주는 것이 라우터입니다. 라우터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컴퓨터라고 볼 수 있는데 패킷이 왔을 때 패킷을 어디로 보낼 것인지 경로를 결정해 주는 역할을 하는 컴퓨터입니다. 모든 데이터가 똑같은 경로로 가지 않기 때문에 라우터가 현재 어느 쪽으로 가는 것이 가장 유리한지(트래픽이 없는지, 빨리 갈 수 있는지)를 판단해서 길을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IPS와 ISO


인터넷은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입니다. 또한, 인터넷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주소체계입니다. 주소가 없으면 데이터들을 보내고 받고 하는 것을 할 수 없기 때문이죠. 때문에 주소를 부여해 주는 서비스를 해주는 회사가 필요한데, 그런 역할을 해주는 회사를 IPS(internet service providers)라고 합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회사로는  KT, SKT, LG U+ 같은 기업들인데, 이러한 기업들이 IP를 제공하는 회사들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정리했듯이 통일된 규약을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프로토콜과 같은 통일된 규칙을 적용시키려면 표준을 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많은 표준 기관이 존재합니다. 그중에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라는 통신, 컴퓨터뿐만 아니라 전 산업의 표준을 정하는 기구가 존재하는데, ISO에서 정한 인터넷의 표준을 정한 것이 OSI모델입니다. 그 밖에도 전기전자공학자협회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구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표준을 정하는 기구에서 표준을 정의 내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기관 혹은 개인이 RFC(Request for comments)라는 제안서를 제출합니다. 기술제안서를 내면 많은 사람들이 해당 제안서를 읽고 의견을 냅니다. 사람들의 의견들을 취합하고 회의를 통해 표준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인터넷의 역사


인터넷의 역사를 살펴보겠습니다. 인터넷의 시초는 1969년도 ARPANET이라고 봅니다. 이전에 미국의 몇 개의 대학은 자체적으로 학교 안의 자체 인터넷을 사용했었으나 다른 학교끼리의 연결은 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학교와도 연결을 하고 싶을 때 미국 국방부에서 지원을 해주어서 학교끼리 인터넷이 연결되도록 한 것이 ARPANET이었습니다. 인터넷 연결이 되긴 되었으나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다는 이유로 연구를 통해 나온 것이 TCP/IP입니다. TCP/IP가 나오면서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고, 80년대 초에는 기초적인 통신의 규약이 등장하기도 하였습니다.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은 되었지만 인터넷을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수준까진 도달하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다 WORLD-WIDE WEB라는 것이 나왔고 WORLD-WIDE WEB 이후로 일반 대중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 WORLD-WIDE WEB는 WEB의 기본적인 뜻인 거미줄이 포함되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거미줄이 서로 얽히고설키듯이 어떤 문서가 하이퍼텍스트라는 링크를 통해서 연결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고 보는 형태를 WORLD-WIDE WEB이라고 합니다.




인터넷과 웹의 차이


인터넷과 웹을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론 인터넷과 웹은 서로 다른 것으로 구분됩니다. 인터넷은 웹을 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반이 되는 것이고 인터넷 중에서 대표적인 서비스를 웹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은 html문서로 이루어진 것이고, 예전에 문서는 한글이면 한글, 워드면 워드 프로그램이 깔려있어야 하는데, 웹은 태그 <>가 붙어서 브라우저를 띄었을 때 브라우저가 태그의 의미를 이해하고 글자를 크게 해 준다던지, 색깔을 입혀주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해줍니다. 인터넷에는 수많은 문서가 있으니까 그것을 보기 위해서 검색을 해야 합니다. 그때 나오기 시작한 게 야후, netscape 등입니다. 그 이후부터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Google, Chrome과 같은 internet application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사람도 만나서 이야기할 때 약속된 대화의 형식이 있듯이(인간의 프로토콜), 네트워크도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약속된 형식이 존재합니다. 비유적으로 이야기하면 택배를 보낼 때 포장을 한 후 운송장을 붙여서 여러 가지 정보를 적어서 택배를 보내게 되면, 위에 붙여져 있는 운송장을 통해 어디로 갈 것인지, 누구에게 보내질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송장을 네트워크에서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이란 무엇인지와 호스트(엔드시스템), 통신링크, 패킷, IPS와 ISO, 인터넷의 역사,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